"민주주의의 상징이 짓밟혔다", "이것은 미국이 아니다" 미국 의회에서 발생한 사상 초유의 폭력 사태를 지켜본 지구촌 지도자들의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, 이런 사태를 선동하고 방관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거세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대통령들의 첫 출발점이 바로 이 의사당 앞입니다. <br /> <br />또 미국의 아픈 역사인 9.11 테러 당시 납치된 여객기 가운데 한대가 의사당을 공격하려고 했지만 승객과 승무원이 테러범과 맞서 싸우면서 비행기를 다른 들판으로 추락시켜 지켜냈습니다. <br /> <br />전직 대통령들의 장례식 혹은 시민들의 조문이 이뤄지는 곳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'선을 넘었다'는 공분이 일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현지 언론에선 미국 FBI나 검찰에서 이번 반란 사태를 이끈 사람들을 찾아내기 위한 수사에 들어갔고 폭력을 선동한 혐의로 트럼프 대통령을 기소하는 걸 배제하지 않을 거란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권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퇴진 압박이 거셉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을 직에서 끌어내릴 수 있는 규정인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5조 4항을 보면 대통령을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자리에서 물러나게 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내용이 있지만, 그 대통령 권한을 이어받을 부통령도 동의해야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시간상 가장 빠른 방법이지만, 현지 언론들은 펜스 부통령이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방법은 탄핵입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탄핵은 절차상 수정헌법 25조 발동보다 시간이 더 걸립니다. <br /> <br />탄핵소추안이 하원을 거쳐 상원까지 통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12월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서 야당인 민주당에 탄핵을 추진 당한 적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결국 공화당이 다수였던 상원의 문턱을 통과하지 못했고, 이때도 3개월의 시간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두 방법 다 어렵다 보니,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과 가족과 관련한 비리에 대해 이른바 '셀프 사면' 가능성을 알아봤다는 소식도 나오면서 이번 의회 폭동과 관련한 책임도 사면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미국 대통령이 스스로에게 사면권을 행사한 적은 없어서 법원의 판단을 봐야 하지만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임기가 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10817075564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